선형 및 비선형방정식의 수치해, 행렬식의 곱과 역을 구하는 문제, 특수함수의 수치계산과 공학문제에의 응용을 소개한다.
연속체역학(Continuum Mechanics)
텐서(tensor)를 사용한 응력과 변형관계, 탄성과 탄·소성, 점탄성 구성방정식의 표현 방법 등에 대하여 교수한다.
탄성론(Theory of Elasticity)
고전적 탄성이론에 근거하여 응력, 변형도 관계를 텐서(Tensor)에 의해 나타나고 평형방정식 및 적합방정식을 유도한다. 평면변형, 평면응력과 단면의 비틂거동을 해석하며 특히 막유사법(Membrane Analogy)에 의한 비틂해석을 소개하고, 에너지방법과 수치해석에 의한 근사해법 등을 제시한다.
파괴역학(Fracture Mechanics)
파괴진행에 대한 이론적 및 공학적 현상을 다루며 파괴의 개념과 선형탄성파괴역학에 대한 해석 및 설계, 그리고 피로와 응력부식에 의한 균열전파 등을 소개한다.
구조물행렬해석(matrix Structural Analysis)
매트릭스 정식화를 통하여 응력법, 변위법 및 직접강도법 등을 소개하고 트러스, 보 뼈대구조물의 문제해석에 컴퓨터프로그래밍 및 오차추적을 수행한다.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
변분원리, Ritz와 Falerkin방법, 연속체의 유한요소의 정식화, 형상함수의 정의, 사상(Mapping)과 수치 적분을 익히고 Eigenvalue와 Transient문제를 다루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재료과학(Material Science)
토목재료로써의 Steel과 콘크리트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 재료의 최적이용, 비탄성거동, 피로수명, 부식방지 등을 익히며 복합재료나 신소재의 대형토목구조에의 응용을 소개한다.
탄성론을 바탕으로 파랑에 대한 해양구조물, 바람에 대한 사장교 등 특수구조물의 문제를 수체해석의 접근방법으로 근사해를 구하며 Random Vibration이론을 기초로 비결정론적 하중에 대한 예상최대거동을 구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확률론적 구조해석(Probabilistic Methods in Structural Engineering)
하중과 강도의 불확실성은 구조물의 안전에 직접 관련되므로 새로운 개념의 구조설계에 있어서 확률적 접근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하중의 확률분포, 확률론적 구조해석, 파괴확률과 안전도 문제를 기본이론과 실무적용으로 다룬다.
소성론(Theory of Plasticity)
보다 더 심층적인 구조물의 해석을 위하여 탄성이론을 기초로 소성이론에 대해 학습하고, 실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구조물의 해석 및 설계에 소성이론을 고려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건설진동공학(Construction Vibration Engineering)
건설진동의 발생, 특징 및 전파 메카니즘 등에 대한 기본 이론과 신뢰도를 갖는 건설진동의 분석심법, 건설진동과 구조물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영향평가, 건설진동의 저감 방법 등에 대해서 층적으로 고찰한다. - 열역학특론(Advanced Thermodynamics) 각종구조재료의 열역학적인 거동분석과 열전달의 체계해석을 통하여 구조물의 응력과 변형을 심층적으로 평가한다.
내진공학 (Seismic Resistant Engineering)
내진공학에서는 지진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저항능력을 향상시키기고, 지진으로부터 구조물의 안전성과 사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과 실질적인 설계기법에 대하여 배우게 된다. 또한 사용중인 구조물에 대한 내진성능 평가 및 보강 방법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 재료역학 특론 (Advanced Mechanics of Materials) 구조공학의 가장 기본이 되는 재료역학을 보다 심층적이고 특수한 경우에까지 확대하여 배우 게 된다. 여기에는 3축 평면응력 및 변형률과 응용, 탄소성과 비선형 굽힘 등이 포함되고 단면의 응력과 변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과 해석 연구가 동반된다.
구조물진단공학특론 (Advanced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Engineering)
구조물 진단공학은 구조물의 전체적인 이해를 필요로 하는 응용학문 분야로서 사용 중인 구조물의 내하능력 및 사용성의 확보여부, 잔존수명 등을 판단 및 예측한다. 이를 위하여 구조물의 계획, 설계, 시공 등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현재 구조물의 응력 발생 정도, 하중이력 등에 대하여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철도공학특론 (Advanced Railway Engineering)
철도전문가로서 철도에 관한 기본지식과 전문지식을 습득하도록 하기 위하여 철도 계획, 노선 선정과 건설, 선로와 구조물, 정거장, 안전 대책, 유지 보수 등 철도공학과 철도기술의 종합적인 내용을 다룬다. 또한 최근의 고속철도, 지하철, 모노레일, 라이트레일 등 신교통 시스템 등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PS콘크리트특론 (Advanced Prestressed Concrete)
PS 콘크리트의 긴장재의 역학적 거동과 정착단의 응력분포, Prestress의 손실에 대해서 심도있게 연구하고, Strut-Tie 모델을 이용하여 PSC Girder를 해석 및 설계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건설재료공학특론 (Advanced Construction Materials Engineering)
건설 신소재와 폐건설자재를 이용한 재활용 건설재료 등의 역학적 특성과 재료적 특성에 대해서 연구한다. 또한 해양성 골재에 대한 안전성과 시공성 확보를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배우게 된다.
토질역학의 수학적 이론을 정립시키기 위하여 흙의 골격에 관한 이론, 침투와 투수에 관한 이론, 지반의 침하문제와 전단강도에 관한 이론 등을 교수한다.
토질역학특론Ⅱ(Advanced Soil MechanicsⅡ)
흙의 응력과 변형을 지배하는 각종 구성방정식과 배경이론에 중점을 두어 강의한다. 주된 내용으로는 토체의 응력과 변형이론, 한계상태이론, 탄·소성과 점탄성 구성식의 항복함수이론 등이다.
기초공학특론Ⅰ(Advanced Foundation EngineeringⅠ)
토목구조물에 대한 기초의 설계기술발전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기초해석과 설계에 대한 기본개념의 응용력기법을 얕은기초와 널말뚝, 깊은기초 등에 대해 고찰한다.
기초공학특론Ⅱ(Advanced foundation EngineeringⅡ)
최근의 구조물의 중량화와 대형화에 의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말뚝기초의 사용과 보강토공법 및 지반개량공법에 대한 기술이론과 공법을 다룬다.
전단이론(theory of Shear Strength)
흙의 전단강도에 대한 이론 및 실험 등을 다루며, 특히 흙의 구성식에 대한 배경이론에 중점을 두어 교수한다.
토질동역학(Soil Dynamics)
지진이나 진동에 의한 흙의 강도와 변형이론, 실험법 등을 강의하고 실제문제에는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교수한다. 특히 흙의 액상화 평가방법 및 실험에 대해서도 다룬다.
흙의 변형이론(Theory of Geotechnical Stability)
흙의 응력-변형률관계에 대한 구성식과 그 응용을 강의한다. 주로 2,3차원 지반의 변형해석과 유한요소해석 방법들을 교수한다.
지반안정론(Theory of Geotechnical Stability)
토류구조물의 안정성에 대한 이론과 방법을 고찰하여 실무에 적용 및 응용할 수 있는 관련된 지식과 연구기법들을 다룬다.
신뢰도해석(Reliability Analysis)
토질정수에 포함되어 있는 불확실성을 확률이론에 의한 신뢰도 해석방법으로 토질구조물의 안정성을 위한 기본이론과 해석방법을 고찰한다.
다차원압밀이론(Theory of Geotechnical Stability)
Terzaghi계의 압밀이론과 Biot계의 3차원 압밀이론을 강의하며, 그 응용방법과 유한요소해석의 적용 등에 대하여 주로 교수한다.
토목계측 및 측정(Instrumentation and Measurement for Civil Engineering)
각종시험 및 토목구조물의 응력, 변형의 측정과 응용방법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그 내용으로는 측정기기의 기능, 변형측정이론의 개요, 측정치의 정리 및 평가 등이다.
암석역학특론 (Advanced Rockl Mechanics)
암석 및 암반에 대한 응용지식을 다루는 과정으로서, 암석의 물성 및 역학적성질, 강도와 변 형거동을 습득하도록하여 지하구조물 및 암반과 관계하는 각종 구조물의 공학적 판단과 해석 능력을 배양해 주는 교과목이다.
응용 토질 실험 (Applied Soil Testing)
실험 결과에 대한 토질공학적 문제해결을 위하여 토질 실험 방법, 결과 적용해석, 토질실험 응용기법 등을 다룬다.
사면안정론 (Theory of Slope Stability)
사면의 안정도를 검토하는 토질공학적 안정 계산법을 토대로 하여 사면에 대한 안전율의 개 념, 안정해석 방법, 재해 방지 대책 등을 다룬다.
토압론 (Theory of Earth Pressure)
토압의 기본이론을 기초로 하여 각 종 토류구조물에 작용하는 토압의 결정 방법과 설계에 적 용되는 기법을 다룬다. 지반진동 및 내진공학 (Geotechnical Vibrations and Seismic Resistant Engineering) 지반진동의 개념, 진동의 분류 및 진동이론을 교수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반-구조물 상호작용 원리, 각종 토질구조물의 내진설계기준, 방진 및 내진설계법 등을 습득하도록 한다.